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오늘은 단리와 복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둘의 차이점까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단리
일정한 시기에 오로지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한 이율을 적용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 이자는 원금에 합산되지 X, 따라서 이자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단리계산방법: 미래가치 = 현재가치 x [1 + (연 이율 x 투자기간(연 단위)]
예) 100만원을 연 3%의 이자율로 5년 동안 단리로 저축하면 얼마가 될까?
1,000,000원 x [1 + (0.03 x 5)] = 1,150,000원
즉, 100만원의 3년 후 미래가치는 1,150,000원이라고 할 수 있다.
복리
'중복'의 의미를 지니는 한자어 복(復)과 이자의 리(利)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로, 말 그대로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을 뜻한다.
복리계산방법: 미래가치 = 현재가치 x (1 + 연이율)n제곱
예) 100만원을 연 4%의 이자율로 3년 동안 단리로 저축하면 얼마가 될까?
1,000,000원 x (1 + 0.04)3제곱 = 1,124,864원
즉, 100만원의 3년 후 미래가치는 1,124,864원이라고 할 수 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의 설명을 토대로 금융상품을 선택한다면, 복리를 선택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상품들이 단리로 판매되고 있으며, 복리적용 상품의 경우 이율이 단리보다 낮은 수준인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사실상 1년을 기준으로 본다면 단리와 복리의 큰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단리, 복리만 기준으로 두고 금융상품을 선택하는 것보다 여러가지 복합적인 관계들을 살펴보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에도 또 다른 경제용어를 들고 오겠습니다.
오늘은 이만 안뇽ㅎ
'경제용어 인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수효과, 낙수효과란 무엇인가요? 기초 경제용어 분수효과 뜻, 낙수효과 뜻 (121) | 2023.08.17 |
---|---|
파레토 원칙이란 무엇일까요? 경험적 법칙이 무엇인가요? (59) | 2023.08.16 |
이케아 효과(IKEA effect)란 무엇일까요? 조립형 제품을 좋아하는 이유 (80) | 2023.08.11 |
박싱데이“Boxing Day”란 무엇일까요? 파격적인 가격의 쇼핑 시즌! (95) | 2023.08.10 |
메뉴비용이란 무엇일까요? 경제용어 쉽게 알아봐요 (70) | 202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