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인포

금본위제가 무엇인가요? 기초 경제 용어 쉽게 알려드려요!

by 에디터칸 2023. 7. 3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오늘은 금본위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처음 들어보신 분들은 어려울 수 있으나, 정말 쉽게 설명해드릴테니 이 포스팅을 보시고 꼭 금본위제를 정확히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금본위제의 정의

금본위제 = 화폐단위의 가치와 금의 일정량의 가치가 등가관계를 유지하는 본위제도

 

자 이게 무슨 말이냐, 싶으시죠? 이를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폐는 사실상 숫자와 그림이 새겨있는 '종이'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이 단순한 '종이'를 통해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모든 이들이 그 종이의 가치를 믿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종이의 가치를 믿도록 만들었을까요? 이 믿음은 바로 화폐의 발행기관에 대한 신용도와 관련있습니다.

but, 과거 사람들은 타국가들의 화폐의 가치를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믿을 수 있는 건 뭐냐, 바로 ''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가 또다시 발생합니다. 금은 너무 무겁고 훼손의 위험이 있다는 거예요.

그.래.서 고안한 방법이, 각 나라의 화폐에 금의 그램(g)수를 기입하는 거예요! '미국의 35달러 = 금 1온스' 이런 식으로요. 35 미국 달러가 있으면 이를 금 1온스와 교환할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화폐는 금의 교환권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화폐가 금의 교환권과 같은 역할을 했기 때문에 이에 따라 화폐의 발행은 금의 보유량에 맞춰서 해야했는데요. 예를 들어 미국의 중앙은행이 금을 1000온스를 보유하고 있다면, 최대 35000달러만 발행할 수 있었던 거죠.

 

 

금본위제의 역사

1. 최초의 금본위제를 1918년 영국이 실시. 이후 많은 국가들이 금본위제를 채택

2. 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많은 국가에서 전쟁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화폐 발행량을 비약적으로 늘려, 금과 화폐 보유량의 불균형이 발생. 이로 인해 금본위제 일시적 폐지, 화폐량의 비약적 증대로 인해 인플레이션 발생

3. 전후 금본위제를 다시 실시하기 위해 화폐를 거둬들여 긴축정책 실시. 갑작스러운 긴축정책으로 디플레이션 발생 -> 경제대공황, 금본위제 포기

4. 2차 세계대전 이후 브레튼 우즈 체제 성립.

참고) 브레튼 우즈 체제란? 미국 중심의 금본위제를 말합니다. 오직 미국의 달러만 금과 교환 가능하게 했습니다. 따라서 타국가들이 자신의 화폐를 금으로 교환하고 싶다면 먼저 자신의 화폐를 달러로 환전해야만하게 한거죠.

5. 1950년대 말부터, 미국 경제 정체 및 유럽의 급속한 경제 성장. 미국 달러 가치 하락으로 인해 달러를 가진 국가들은 미국 달러의 금 태환 요구. but 미국 금 없어서 교환 못해줌. 따라서 많은 국가들이 브레튼 우즈 체제 안 따름

6. 1971년 미국 닉슨 대통령 '달러 금으로 안바꿔줌!' 선언(닉슨쇼크). 사실상 브레튼 우즈 체제를 폐지한 것

 

네, 오늘은 금본위제의 정의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의 또 다른 경제 용어로 만납시다. 그럼 안뇽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