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인포

시뇨리지가 뭔가요?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by 에디터칸 2023. 7. 2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오늘 알아볼 경제용어는 바로 시뇨리지입니다. 경제 공부가 어려운 경린이 분들께는 생소한 단어일 수도 있겠습니다.

시뇨리지 (seigniorage)

= 화폐 발행을 통하여 정부가 얻는 이익. 화폐의 액면가에서 제조 비용을 뺀 것(화폐의 액면금액 - 화폐의 제조원가)을 말한다.

자, 이게 무슨 말인지 예시를 들어볼까요? (이해하기 쉽게 원 화를 통해 설명해볼게요)

10,000원 짜리 화폐를 만들어내는데 1,000원의 비용이 들었다면, 시뇨리지는 9,000원이 됩니다! 즉, 중앙은행의 이익이 9,000원이라고 할 수 있죠.

따라서, 10,000원 짜리 화폐 = 화폐의 액면가, 1,000원의 비용 = 제조 비용으로서 9,500원의 시뇨리지가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가상화폐의 시뇨리지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의 장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네요.  가상화폐는 디지털 화폐이기 때문에 화폐를 주조하는 데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상화폐의 시뇨리지는 실물 화폐의 시뇨리지보다 훨씬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축통화국의 시뇨리지

한국의 경우, 원화를 사용하죠? 원화는 기축통화가 아닙니다. 대한민국에서만 가치가 있는 화폐인거죠. 다른 나라와 무역을 할 때 원화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화폐를 발행할 때 시뇨리지가 많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이는 국제 경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이 아닙니다!

반면, 미국을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의 달러는 기축통화입니다. 세계에서 통용되는 화폐인거죠. 따라서 미국에서 시뇨리지로 인해 발생된 돈들은 국제 경제에서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는 돈입니다! 현대에는 오직 미국만이 기축통화국으로서 지닐 수 있는 세뇨리지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시뇨리지와 물가상승

시뇨리지는 화폐를 발행할 때 생기는 효과임으로 통화량 증가를 수반합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연쇄적으로 물가상승화폐 가치 하락이라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시뇨리지가 커진다고 무조건적으로 긍정적인 결과가 생기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네, 오늘은 시뇨리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정리하자면 시뇨리지는 '화폐의 액면금액 - 화폐의 제조원가'를 뜻하는 경제 용어였습니다. 시뇨리지 개념을 통해 가상화폐와 기축통화국의 시뇨리지 면에서의 장점을 살펴볼 수 있었네요. 또한 시뇨리지와 물가상승의 관계를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럼 저는 다음에도 또 다른 경제 용어를 들고 오겠습니다! 다음에 만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