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경제용어8

분수효과, 낙수효과란 무엇인가요? 기초 경제용어 분수효과 뜻, 낙수효과 뜻 분수효과와 낙수효과 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오늘은 분수효과와 낙수효과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분수효과와 낙수효과는 경제 성장을 바라보는 데 있어서 상반된 관점을 지니는 견해입니다. 분수효과 분수효과는 저소득층으로부터 경제성장이 이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저소득층의 소득이 증대되면 그들의 소비가 증가할 것이며 그로 인해 고소득층의 소득향상이 이루어지고 경기 활성화를 이끌어낸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분수효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을 '돈이 생기면 바로 소모하는 경향이 있는 자'들로 바라봅니다. 따라서 저소득층에게 돈을 뒤어주면, 그들의 소비가 증대되고 경제활동이 장려된다는 논리입니다. 이렇게 저소득층의 소비 및 경제활동의 증대는 고소등층의 소득 증대로 이어지며, 고소득층의 소득 증대는 더.. 2023. 8. 17.
파레토 원칙이란 무엇일까요? 경험적 법칙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반가워요!! 파레토원칙 Pareto principle 오늘은 “파레토원칙(Pareto principle)”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파레토 원칙이란? 파레토원칙이라는 단어가 생소하신분들이 많을 거예요. “결과의 대부분(majority, 80%)이 일부(minority, 20%) 원인 때문에 생긴다는 경험적 법칙”인데요! 쉽게 말해서 소수의 인원이나 요소로 대부분의 일이 일어나는 것을 말해요. 이렇게 말해도 이해하기 쉽지않죠. 파레토원칙 예시 1. 교통사고의 대부분(80%)은 일부의 운전자(20%)가 집중적으로 낸다. 2. 기업의 성과 대부분(80%)은 일부의 임원(20%)으로 인해서 생긴다. 3. 세계에서 일어나는 범죄의 대부분(80%)은 일부의 범죄자(20%)로.. 2023. 8. 16.
단리와 복리의 개념과 차이점 알아보아요 (기초경제용어) 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오늘은 단리와 복리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둘의 차이점까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단리 일정한 시기에 오로지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한 이율을 적용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 이자는 원금에 합산되지 X, 따라서 이자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단리계산방법: 미래가치 = 현재가치 x [1 + (연 이율 x 투자기간(연 단위)] 예) 100만원을 연 3%의 이자율로 5년 동안 단리로 저축하면 얼마가 될까? 1,000,000원 x [1 + (0.03 x 5)] = 1,150,000원 즉, 100만원의 3년 후 미래가치는 1,150,000원이라고 할 수 있다. 복리 '중복'의 의미를 지니는 한자어 복(復)과 이자의 리(利)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로, 말 그대로 이자에 이자가 붙는 .. 2023. 8. 15.
박싱데이“Boxing Day”란 무엇일까요? 파격적인 가격의 쇼핑 시즌! 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여러분은 박싱데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이는 크리스마스 다음날인 12월 26일을 가리키는 말로 과거 영국과 영연방 국가에서는 하인들에게 선물을 주고 휴가를 주는 날이었다고 합니다! 오늘날은 크리스마스 전후로 하여 파격적인 가격의 쇼핑시즌을 전반적으로 일러 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요즘 너무 더워서 빨리 크리스마스가 오면 좋겠어요) 박싱데이에 대한 기원은 여러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그 중 두 가지를 말씀드릴게요! 1. 12월 25일에도 일을 해야했던 하인들에게 주인들이 보상을 주는 날 2. 교회에서 가난사람들에게 선물을 베풀기 위해 크리스마스에 기부를 받고 나눠주던날 요즘의 박싱데이는 크리스마스 전후로 세일하는 시즌인데요. 특히 케나다에서는 이시즌에 사람들이 소매.. 2023. 8. 10.
블루오션은 무엇일까요? 쉽게 알아보아요! 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블루오션이란 무엇일까요? 비교적 널리 알려진 단어로 대강 어떤 느낌인지 아시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아시는 것 처럼 레드오션과 비교되는 말로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시장을 의미해요. 왜 블루와 레드일까요? 우리가 익히 아는 것 처럼 당연히 바다는 파란색인데요. 여기서 레드는 상어(경쟁자)와 싸워서 피를 흘리는 것을 의미해요. 시장은 한정되어 있죠. 좁은 시장에서 언제든지 대체품이 나올 수 있는 환경이라면 한정된 자원에서 싸울 수밖에 없어요. 각자에겐 가격이나 디자인이나 무기가 있지만 결국엔 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그렇다면 블루오션은요? 시장이 한정되어 있는것은 마찬가지이지만, 새로운 시장을 발견하는 것이에요. 대체품이 아닌 대안품이 나온 것이죠. 기존 소비자들의 니즈를 .. 2023. 8. 5.
엥겔지수가 무엇인가요? 기초 경제 용어 같이 공부해요! 안녕하세요 에디터 칸입니다. 오늘은 엥겔지수의 뜻과 계산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엥겔지수 뜻 엥겔지수는 총 가계 지출액 중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금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가계의 생활수준을 가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제 지표입니다. 독일의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Ernst Engel)의 논문 발표에서 발표에서 유래하여 그의 이름을 따 '엥겔지수'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식료품비에 외식비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소득이 오를수록 낮아지는 엥겔지수? 에른스튼 엥겔은 연구를 통해서 가계 소득이 높아질수록 식료품비의 비율이 감소한다는 가계 소비의 특징을 발견했습니다. 엥겔지수는 '비율'입니다. 식료품은 사치품이 아니라 필수 소비품목입니다. 따라서 상위층의 가정이라 하더라도 필요 이상으로 식료품.. 2023.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