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에디터 칸이에요!
요즘 아주 인기 상승인 프로그램이 있죠? 바로 지구오락실2인데요!
(저도 아주 좋아합니다)
7월 7일 방송분 중 미미가 맞춘 퀴즈 문제가 화제입니다. 논술형 주관식 문제였는데요, 여러분도 한번 답을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출금리가 오르면 왜 집값이 떨어질까요?"
라는 문제였는데요, 예상과 달리! 미미는 이에 대한 답을 차분히 내놓았습니다.
그렇다면, 미미의 답을 들어보겠습니다.
"건물을 살 때 자기 돈으로 100% 사는 사람들이 없다. 보통 대출을 최대한 끌어와서 집을 산다. 그런데 대출 금리가 오르면 대출받은 것에 이자가 얼마나 많이 붙겠냐. 그럼 그걸(이자) 내기가 힘들어서 집을 빨리 팔려고 그런다. 빨리 팔아야 그 대출 이자를 안 낼 수 있다. 그런데 대출 금리가 올라서 사는 사람은 없고 팔려는 사람만 많아서 수요 공급 원리에 따라서 집 값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정확한 설명에 감탄을 하면서 봤네요...
이를 통해 대출 금리 = 대출에 대한 이자율임을 알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금리는 무엇일까요??
금리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나 이자율을 뜻합니다.
만약 은행에서 돈을 빌린다면, 빌린 돈에 대한 사용료로 이자를 은행에 냅니다. 이 이자에 대한 비율인 이자율을 금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은행에 돈을 넣어둔다면, 이번에는 은행에서 이자를 줍니다. 이도 이자율, 즉 금리에 맞춰서 지급되는 것이죠!
한 번 예시를 살펴볼까요?
예시) 금리가 5%인 상황, 100만 원을 1년간 은행에 넣어둔다면, 1년 뒤에는 돈이 105만 원이 된다.
그렇다면 기준 금리는 무엇일까요??
기준금리는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결정하는 금리입니다.
참고) 한국은행은 우리아 같은 개인과 거래하는 은행이 아닌, 시중의 존재하는 다양한 은행과 거래하는 은행입니다.
오늘은 금리와 대출금리, 기준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금리의 변동에 따라 경제 상황에 여럿 변화가 생깁니다. 이는 다음에 알아보도록 해요!
'경제용어 인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물가지수가 무엇인가요? 기초 경제용어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8) | 2023.07.28 |
---|---|
시뇨리지가 뭔가요?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12) | 2023.07.27 |
빅맥지수,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1) | 2023.07.24 |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차이점과 장단점까지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0) | 2023.07.23 |
경제란 무엇일까요? (0) | 2023.07.22 |